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2

[2. 연소공학] 03 연소계산 01 이론산소량과 이론공기량 1. 이론 산소량(Oo) 어떤 연료를 이론적으로 완전연소시키는데 필요한 산소량을 말함 가연성분인 C,H,S 이 연소할 때 필요로 하는 산소량의 합 ※ 기체연료의 이론연소 양론식 2. 이론 공기량(Ao) 연료가 소비한 산소량은 공기 중에 있는 산소를 소비한 것이기 때문에 공기의 소비량으로 환산한 값 중량조성(%) 체적조성(%) 공기 1몰 중 질소(N₂) 76.8 79 산소(O₂) 23.2 21 02 이론가스량과 실제가스량, 공기비 1. 이론가스량(Go) 이론가스량 = 배출가스량 = 연소시 사용한 이론공기 중 질소량 + 모든 생성물의 총합 건조생성물의 의미는 수분(H₂)을 제외한 나머지 생성물의 합 2. 실제공기(A)와 공기비(m) 1) 실제공기 실제 연소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공.. 2023. 2. 9.
[2. 연소공학] 02 연소장치의 종류와 특징 01 고체연료의 연소장치 1. 화격자 연소장치 화격자 위에 여러 층의 석탄입자의 고정층을 만드러 그 속으로 공기를 공급하면서 연소시키는 방법 ① 상부주입식 화격자(산포식 스토커, 계단식 스토커) 석탄층 → 건류층 → 환원층 → 산화층 → 회(재)층 → 화격자의 순서를 가짐(위→아래) ② 하부주입식 화격자(하급식 스토커, 체인 스토커) 화격자 → 석탄층 → 건류층 → 산화층 → 환원층의 순서(아래→위) CO 발생량이 많은 단점을 가짐 ③ 가동(이동식) 화격자 2. 유동층 연소장치 정의 : 세로형의 원통 용기의 바닥 부분에 다공의 공기 분산판을 설치하고 노 내부에는 모래 등의 내열성 분립체(유동사)를 충전하여 이것을 유동매체로 하여 분산판 밑 쪽에서 넣어주는 열풍으로 유동하게 함. 이 유동층 내에 소각 물질.. 2023. 2. 5.
[2. 연소공학] 01 연소이론 01 연소의 정의 1. 가연물의 조건 ① 화학적으로 활성이 강할 것 ② 활성화 에너지가 작을 것 ③ 표면적이 클 것 (기> 액 > 고) ④ 열전도도가 적을 것( 고> 액> 기) 2. 완전연소와 불완전연소 완전연소 : 연료를 산소 공급해 연소시켰을 때 반응 물질들이 더 이상 산화되지 않는 물질로 되어있을때 불완전연소 : 연료가 연소할때 산소의 공급이 부족하거나 온도가 낮아지면 그을음이나 일산화탄소가 생성되면서 연료가 완전히 연소되지 못하는 현상으로 자동차 배기가스의 그을음이나 일산화탄소, 탄화수소 등이 배출 될 수 있다. ※ 매연 발생의 원인(불완전 연소인 경우) 연소실의 체적이 적을때 , 통풍력이 부족할 때, 무리하게 연소시킬 때 02 고체연료의 종류와 특징 고체연료의 탄소이고 그 밖에 회분과 수분을 함.. 2023. 2. 5.
[1. 대기오염개론] 08 대기오염사건 01 대기오염사건 1. 뮤즈계곡 사건 2. 요코하마 사건 3. 도노라 사건 4. 포자리카 사건 5. 런던 스모그사건 6. LA 스모그 사건 런던 LA 역전 복사역전 침강역전 발생시기 이른아침 한낮 연료 석탄계 석유계 기온 4℃ 이하 24-32℃ 화학반응 환원 산화 계절 겨울 여름 가시거리 100m 이하 1km 이하 습도 높음(85% 높음) 낮음(70% 이하) 주오염물질 SO₂, 먼지 O₃, PAN, H₂O₂ 등 바람 무풍 7. 보팔 사건 8. 체르노빌 사건 9. 후쿠시마 사건 ※ 대기오염사건 발생 순서 뮤즈계곡 > 요코하마 > 도노라 > 포자리카 > 런던 > LA > 보팔 > 체르노빌 > 후쿠시마 2023. 1. 29.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