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영향평가15 기상대와 AWS의 차이점 [환경영향평가 실무] 기상 관측은 날씨 예보와 기후 연구의 핵심 기반입니다. 기상 관측 데이터는 자연재해 대응, 농업 계획, 교통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필수적으로 활용됩니다. 이 과정에서 기상대와 AWS(자동기상관측시스템)는 주요 역할을 담당하며, 각각의 고유한 특징과 역할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두 시스템의 차이점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기상대와 AWS의 차이점: 기상 관측 기술의 발전기상대란 무엇인가? 기상대는 사람이 운영하는 기상 관측 시설로, 대규모 기상 관측 장비를 통해 정확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기상대는 전통적으로 기압, 온도, 습도, 바람, 강수량 등 주요 기상 요소를 측정하며, 기상학적 분석과 연구를 지원합니다. 주로 도시나 지역 단위로 설치되어 장기적인 기후 관측에도 기여합니다.기상대의.. 2024. 12. 9. 경기도와 서울시 환경영향평가 조례 비교 무엇이 다를까 환경영향평가는 대규모 사업이나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업을 계획할 때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고 지속 가능한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필수적인 제도입니다. 경기도 와 서울시는 각기 다른 조례를 통해 이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두 지역의 주요 특징과 차이를 살펴보겠습니다 경기도와 서울시 환경영향평가 조례 비교1. 조례의 적용 대상경기도의 환경영향평가 조례는 산업단지 개발, 대규모 건축물 신축 등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을 평가 대상으로 지정합니다. 비교적 소규모 사업도 평가에 포함될 수 있어 적용 범위가 넓습니다.반면, 서울시는 초대형 개발 사업이나 한강 인근 및 주요 녹지 공간과 같은 환경 민감지역에서의 사업에 중점을 두며 더 엄격한 기준을 적용합니다. 2. 주요 평가 항목 경기도는 .. 2024. 12. 7. CALPUFF 모델링 모델 개요 및 프로세스기상입력자료를 생성하기 위해 사업지구 및 기상청 관측자료와 NCEP 재분석 자료를 이용하여 기상모델 WRF를 수행하였으며, WRF 출력결과를 CALPUFF 모델의 초기 기상장 입력자료로 사용함.CALPUFF는 크게 3차원 기상장을 생성하는 기상입력 모델인 CALMET대기확산모델인 CALPUFF확산모델의 결과를 정리하는 CALPOST로 구성WRF 출력결과를 CALWRF와 CALMET을 통해 자료를 변환하여 CALPUFF 기상 입력자료로 사용함. (1) WRF 개요 대기질 영향 예측 시 3차원 기상 예측 모델인 WRF(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를 수행하여 초기 기상장을 생성함.3차원 기상 수치 모델(WRF)은 기상상태 모사를 목적으로 개발된 모델, 대기.. 2023. 5. 23. 이전 1 2 3 4 다음 728x90